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6 | 7 |
8 | 9 | 10 | 11 | 12 | 13 | 14 |
15 | 16 | 17 | 18 | 19 | 20 | 21 |
22 | 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29 | 30 | 31 |
- 동적계획법
- ESLint
- Notion to Github Markdown
- 코딩테스트
- 백준
- 1003
- vsCode
- 개발상식
- js
- 현파랑
- notion
- react
- DFS
- java
- CONVERTER
- webpack
- dp
- 패스트캠퍼스
- BFS
- 다이나믹프로그래밍
- 접근법
- 발자취
- IT-Note
- 면접
- Prettier
- 알고리즘
- 프로그래멋
- spring
- 완전탐색
- spring-mvc
- Today
- Total
두 번째 뇌
[JS] 투 포인터(Two-Pointers) : 연속 부분수열 본문
개요
주어지는 배열에서 특정 값을 찾아내는 알고리즘을 작성할 때, 일반적으로 loop문을 두 번 중첩해서 사용합니다.
물론 주어지는 배열의 크기가 10,000 이하인 경우 최대 O(n^2) 내에서 해결하면 되므로 문제가 없으나.... 그 이상이 주어진다면 그 속도는 기하급수적으로 차이가 납니다.
투 포인터 알고리즘은 포인터 두개를 둬서, 시간복잡도를 O(n) 내로 해결하는 방식입니다.
문제
주어지는 수열에서 연속부분수열의 합이 특정숫자 M이 되는 경우가 몇 번 있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.
만약 M=6이고 수 열이 다음과 같다면
1 2 1 3 1 1 1 2
합이 6이 되는 연속부분수열은 {2, 1, 3}, {1, 3, 1, 1}, {3, 1, 1, 1}로 총 3가지이다.
▣ 입력설명
첫째 줄에 M(1≤M≤100,000,000)이 주어진다.
수열의 원소값은 1,000을 넘지 않는 자연수이다.
▣ 출력설명
첫째 줄에 경우의 수를 출력한다.
▣ 입력예제 1
6
1 2 1 3 1 1 1 2
▣ 출력예제 1
3
코드
🤩 : 투 포인터 사용하기
function solution(m, arr) {
let answer = 0;
let left = 0;
let right = 0;
let sum = 0;
while (left < arr.length) {
if (right === arr.length) {
left++;
right = left;
sum = 0;
continue;
}
sum += arr[right++];
if (sum === m) {
left++;
right = left;
sum = 0;
answer++;
}
}
return answer;
}
// 테스트
describe('연속 부분수열1', () => {
it('기본 테스트 케이스', () => {
let a = [1, 2, 1, 3, 1, 1, 1, 2];
expect(solution(4, a)).toEqual(4);
});
});
- left, right 포인터 두 개를 선언하고 while loop문으로 제어합니다.
- 이 경우 시간 복잡도는 O(n)입니다.
생각해야할 것
보통 배열이 주어지고 특정 값을 찾아 비교하거나 연산을 하는 문제는 for 중첩문을 사용할 가능성이 큽니다.
입력값이 크지 않다면 위에 언급했듯 고려사항이 아니나, 이런 문제는 충분히 함정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잘 유의해서 풀어야 합니다.
코드를 먼저 짜다보니 답은 맞지만 효율성이 틀리는 것을, 로컬 환경에서는 확인하기 쉽지 않으니 다시 한 번 더 생각해야겠습니다.
'개발자 지식 > Algorith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 Python ] 1003번 피보나치 함수 (0) | 2021.08.01 |
---|---|
[ Python ] BOJ 단계별 풀어보기 - 동적계획법 1 (0) | 2021.07.31 |
[ Python ] BOJ 단계별 풀어보기 - 문자열 (0) | 2021.07.31 |
[JS] DFS : 거리 두기 확인하기(2021 카카오 인턴십) (0) | 2021.07.09 |
[JS] 완전탐색(brute-force) : 자릿수의 합 (0) | 2021.07.02 |